치매지원&노인복지&정부정책

장기요양보험 재가급여 서비스에 대하여 알아보기(2025년 최신판)

심빛스토리 2025. 3. 11. 21:40

복지용구가 설치된 거실 이미지

고령화가 가속화되면서 부모님의 돌봄 문제는 더 이상 특정 가정만의 고민이 아닙니다.
특히 치매나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이 있는 가정이라면, ‘장기요양보험 재가급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2025년 현재, 장기요양보험의 재가급여 서비스는 돌봄이 필요한 어르신들이 가정 내에서 편안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핵심 제도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재가급여의 구성, 이용 조건, 비용 구조 및 신청 방법까지
꼭 알아야 할 정보를 한눈에 정리해 드립니다.

 

📚 목차

  1. 장기요양보험이란?
  2. 재가급여 서비스란 무엇인가요?
  3. 재가급여 종류별 서비스 안내
  4. 이용 요건 및 신청 절차
  5. 본인부담금 및 비용 구조 (2025년 기준)
  6. 자주 묻는 질문 (FAQ)
  7. 결론 및 실천 체크리스트

1. 장기요양보험이란?

장기요양보험은 2008년 도입된 제도로, 노인성 질병(치매, 중풍 등)이나 고령으로 인해 일상생활이 어려운 분들에게 요양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사회보장 제도입니다.
주로 65세 이상 또는 65세 미만 중 노인성 질환자에게 지원되며,
등급 판정을 받아야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재가급여 서비스란 무엇인가요?

재가급여는 말 그대로 가정에서 제공받는 돌봄 서비스입니다.
노인이 시설에 입소하지 않고 집에서 생활하면서 필요한 돌봄과 간호를 지원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 서비스 유형입니다.
이는 시설급여보다 심리적 안정감과 가족과의 유대 유지에 큰 장점이 있습니다.

3. 재가급여 종류별 서비스 안내

구분 주요서비스 제공 내용
방문요양 요양보호사 파견 신체활동 지원, 정서적 교류, 식사 보조
방문간호 간호사 파견 혈압·혈당 측정, 욕창 관리, 복약지도
방문목욕 목욕차량 이용 이동이 어려운 어르신 대상 가정 목욕 지원
주야간보호 낮 시간 돌봄 센터 이용 식사, 인지프로그램, 재활운동 등
단기보호 단기 시설 이용 가족 부재 시 1~5일 정도 단기 입소 가능
복지용구 지원 보조기기 대여/구입 휠체어, 침대, 욕창 예방 매트 등

POINT: 재가급여는 복수 조합 사용이 가능합니다.
예시: 주간에는 주야간보호 이용, 주 2회 방문요양 + 월 1회 방문간호 조합

4. 이용 요건 및 신청 절차

이용 대상

  • 장기요양보험 등급 1~5등급
  • 인지지원등급 대상자 (치매 초기)

신청 방법

  •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장기요양 인정 신청
  • 공단의 방문조사 및 의사소견서 제출
  • 등급 판정 후 요양계획 수립 → 재가급여 시작

이용 절차

  1. 등급 판정
  2. 재가급여 서비스 항목 선택
  3. 서비스 제공기관과 계약
  4. 월별 사용 및 모니터링

5. 본인부담금 및 비용 구조 (2025년 기준)

 재가급여는 장기요양 등급에 따라 월 한도액과 본인 부담금이 다르게 설정되어 있으며, 정확한 금액은 아래와 같습니다

 장기요양 등급 월 한도액 (원) 재가급여 본인부담금(15%) 시설급여 본인부담금(20%) 기초생활수급자
부담금
1등급 2,306,400 345,960 461,280 면제
2등급 2,083,400 312,510 416,680 면제
3등급 1,485,700 222,855 297,140 면제
4등급 1,370,600 205,590 274,120 면제
5등급 1,177,000 176,550 235,400 면제
인지지원등급 657,400 98,610 131,480 면제

※ 본인이 부담해야 하는 비용은 일반적으로 재가급여는 전체 금액의 15%, 시설급여는 20% 수준입니다. 그러나 경제적 어려움이 있는 기초생활수급자의 경우, 모든 부담금을 국가가 지원해 비용 부담 없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6.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재가급여를 받으면서 요양보호사를 바꿀 수 있나요?
A. 가능합니다. 계약된 제공기관과 협의해 요양보호사 변경 요청이 가능합니다.

Q2. 재가급여만 받고, 시설은 이용하지 않아도 되나요?
A. 네. 가정에서 생활이 가능한 분들은 재가급여만으로도 충분한 돌봄을 받을 수 있습니다.

Q3. 복지용구는 꼭 구입해야 하나요?
A. 아닙니다. 대여 가능한 품목(휠체어, 전동침대 등)은 월 단위로 이용할 수 있어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7. 결론 및 실천 체크리스트

재가급여는 노인이 가장 편안한 가정이라는 공간에서 안전하게 돌봄을 받을 수 있는 실질적인 제도입니다.
2025년 기준 제도는 보다 체계화되고, 가족 간병인의 부담을 줄이기 위한 정책적 보완도 강화되고 있습니다.

✅ 장기요양보험 등급 신청 준비
✅ 본인에게 맞는 재가급여 항목 선택
✅ 복지용구 대여 여부 확인
✅ 본인부담금 경감 대상 확인
✅ 서비스 제공기관과 충분한 상담 진행

 

결론|재가급여는 가족의 삶을 지켜주는 ‘집 안의 요양소’입니다
2025년에는 보다 촘촘해진 장기요양 제도를 통해
어르신도 가족도 함께 웃을 수 있는 일상을 만들어보세요.